- Home
- 무료 콘텐츠
- 기출문제 다운로드
무료 콘텐츠
- [제7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정답 및 해설
-
작성자 : 해커스한국사조회수 : 6067 작성일 : 2024-05-25 15:20:4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70회 심화 해설
1. ③
사유 재산과 계급이 발생했다는 것을 통해 (가) 시대가 청동기 시대임을 알 수 있다.
③ 청동기 시대에는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지배자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오답 설명
①, ② 철기 시대, ④ 구석기 시대, ⑤ 신석기 시대에 대한 설명이다.
2. ③
단궁∙과하마∙반어피를 통해 (가) 나라가 동예임을 알 수 있다.
③ 동예는 매년 10월에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오답 설명
① 삼한, ② 옥저, ④ 부여, ⑤ 고구려에 대한 설명이다.
3. ②
문주, 고구려, 도림을 통해 개로왕 때 한성 함락(475)임을 알 수 있다.
② 고구려에 대응하기 위해 백제 동성왕이 신라에 혼인을 요청하여 나∙제 동맹을 강화하였다.
4. ①
율령을 반포하고 태학을 설립하여 인재를 양성했다는 것을 통해 (가) 왕이 소수림왕임을 알 수 있다.
① 고구려 소수림왕은 전진의 승려 순도를 통해 불교를 수용하였다.
오답 설명
② 미천왕, ③ 광개토 대왕, ④, ⑤ 영양왕 재위 시기의 사실이다.
5. ②
고구려의 사신도와 백제 산수무늬 벽돌은 신선 사상을 기반으로 불로장생을 추구한다는 내용을 통해 도교임을 알 수 있다.
② 연개소문이 당에 도사 파견을 요청하여 도교를 육성하였다.
오답 설명
①, ④ 불교 ③ 성리학, ⑤ 유교에 대한 설명이다.
6. ③
『금강삼매경론』, 『대승기신론소』 등 저술, 일심 사상을 통해 (가) 승려가 원효임을 알 수 있다.
③ 원효는 무애가를 지어 불교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오답 설명
① 혜초, ② 자장, ④ 원광, ⑤ 의상에 대한 설명이다.
7. ④
고구려의 옛 장수 조의 성은 대씨를 통해 (가) 국가가 대조영이 세운 발해임을 알 수 있다.
④ 발해는 선왕 때 5경 15부 62주의 지방 행정 제도를 마련하였다.
오답 설명
①, ⑤ 통일 신라, ② 백제, ③ 후고구려에 대한 설명이다.
8. ③
6두품, 진성 여왕에게 시무책 10여 조를 올렸다는 것을 통해 (가) 인물이 최치원임을 알 수 있다.
③ 최치원은 황소에게 항복을 권유하기 위해 보낸 「격황소서」를 지어 문장가로서 이름을 떨쳤다.
오답 설명
① 각간 위홍과 대구 화상, ② 강수, ④ 원측, ⑤ 설총에 대한 설명이다.
9. ④
선덕왕이 죽었다는 것, 김주원을 왕으로 하려고 했으나 냇물이 불어나 건널 수 없었다는 것, 경신이 왕위에 올랐다는 내용을 통해 원성왕 즉위(785)임을 알 수 있다.
④ 혜공왕 피살 이후(780) 선덕왕이 즉위하면서 신라 하대가 시작되었다. 이후, 선덕왕이 죽고 김주원과 김경신(원성왕) 사이에 왕위 쟁탈전이 일어났으나 김경신이 이를 물리치고 원성왕으로 즉위하였다.
10. ③
견훤의 금산사 탈출 후 귀순(935. 6.) → (가) → 일리천 전투(936)임을 알 수 있다.
③ 935년 11월에 신라 경순왕인 김부가 고려에 항복하였고, 태조 왕건은 김부를 경주의 사심관으로 임명하였다.
오답 설명
① 674년, ② 911년, ④ 642년, ⑤ 660~663년이다.
11. ④
다인철소, 특수 행정 구역이었던 소, 공주 명학소를 통해 (가) 국가가 고려임을 알 수 있다.
④ 고려는 경시서의 관리들이 시전의 상행위를 감독하였다.
오답 설명
① 발해, ②, ③, ⑤ 조선에 대한 설명이다.
12. ③
③ 지눌은 「권수정혜결사문」을 작성하여 선정과 지혜를 함께 닦는 정혜쌍수를 강조하였다.
오답 설명
① 요세, ② 혜심. ④ 의천, ⑤ 균여에 대한 설명이다.
13. ①
주전도감을 설치하여 해동통보를 발행하였다는 것을 통해 (가) 왕이 고려 숙종임을 알 수 있다.
① 고려 숙종은 윤관의 건의로 여진 정벌을 위해 별부반을 창설하였다.
오답 설명
② 고려 성종, ③ 고려 광종, ④ 현종~현종, ⑤ 태조 왕건에 대한 설명이다.
14. ④
정중부, 의종, 김보당을 통해 (가) 사건이 무신 정변임을 알 수 있다.
④ 서경 유수 조위총이 무신 정변에 반대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오답 설명
① 몽골의 일본 정벌, ② 최영의 요동 정벌, ③ 묘청, 정지상 등, ⑤ 홍건적과 왜구 격퇴이다.
15. ④
(가) 최우, 강화도로 옮겼다는 내용을 통해 강화 천도(1232)임을 알 수 있다.
(나) 김방겸, 진도, 김통정, 탐라로 도망을 통해 삼별초의 항쟁(1270)임을 알 수 있다.
④ 강화 천도(1232) 이후 몽골이 2차 침입하였다. 이때 김윤후가 처인성엣 몽골 장수 살리타를 사살하였다.
오답 설명
① (가) 이전, ② (나) 이후, ③ (가) 이전, ⑤ (가) 이전의 사실이다.
16. ③
응방∙겁령구를 통해 원 간섭기임을 알 수 있다.
③ 원 간섭기에 지배층을 중심으로 변발과 호복이 유행하였다.
오답 설명
① 문벌 귀족 집권기, ② 무신 집권기, ④ 고려 초기, ⑤ 조선 전기이다.
17. ④
두 차례에 걸친 왕자의 난으로 즉위하였다는 것을 통해 (가) 왕이 태종임을 알 수 있다.
④ 태종은 문하부를 폐지하고 낭사를 사간원으로 독립시켰다.
오답 설명
① 조선 성종, ② 정조, ③ 세조, ⑤ 영조에 대한 설명이다.
18. ①
세종 대 함길도 병마도절제사, 문종 대 『고려사절요』 편찬을 총괄, 계유정난 때 살해되었다는 내용을 통해 (가) 인물이 김종서임을 알 수 있다.
① 김종서는 세종 때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두만강 일대에 6진을 개척하였다.
오답 설명
② 신립, ③ 변급(1차), 신유(2차), ④ 이종무, ⑤ 서희(고려)에 대한 설명이다.
19. ③
옛 집현전의 직제를 분리하여 홍문관으로 이관, 홍문관이 옛 집현전의 기능을 대신한다는 내용을 통해 밑줄 그은 ‘전하’가 조선 성종임을 알 수 있다.
③ 조선 성종 때 국가의 의례를 정비한 의례서인 『국조오례의』가 완성되었다.
오답 설명
① 정조, ② 중종, ④ 영조, ⑤ 세조 재위 시기의 사실이다.
20. ③
조광조, 천거로 인재를 뽑는 일, 현량과를 통해 중종 때임을 알 수 있다.
③ 중종 때 반정 공신들을 견제하기 위해 사림파를 등용하였다. 이때 조광조가 소격서 폐지, 현량과 실시, 위훈 삭제 등을 주장하였다.
오답 설명
① 흥선 대원군 집권 시기의 군정의 문란, ② 효종 사망 이후 자의 대비의 복상 문제, ⑤ 기사환국에 대한 설명이다.
④ 정여립 모반 사건을 계기로 동인이 많이 죽는 등 피해를 입었다.
21. ①
홍장군, 의병, 고경명과 조헌을 통해 (가) 전쟁이 임진왜란임을 알 수 있다.
① 임진왜란 중에 유성룡의 건의에 따라 포수∙살수∙사수의 삼수병으로 구성된 훈련도감이 설치되었다.
오답 설명
② 이괄의 난, ③ 병자호란 이후, ④ 3포 왜란에 대한 설명이다.
⑤ 세종 때인 1443년에 일본과 제한된 범위의 무역을 허용한 계해약조를 체결하였다.
22. ⑤
⑤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발견된 경주 불국사 삼층 석탑이 있는 곳은 순천 선암사가 아닌 경주 불국사이다.
오답 설명
① 보은 법주사 오층 목조탑 내부에는 부처의 일생을 여덟 폭의 그림으로 나누어 그린 팔상도가 있다.
②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은 고려 시대에 지어진 건축물로, 배흘림 기둥에 주심포 양식으로 축조되었다.
③ 안동 봉정사 극락전은 고려 시대에 지어진 건축물로,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목조 건물이다.
④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은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팔만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건축물이다.
23. ②
이원익의 건의로 경기도에서 시행, 방납의 폐단을 막 백성들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것이라는 내용을 통해 밑줄 그은 ‘제도’가 대동법임을 알 수 있다.
②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ㄱ, ㄷ이다.
ㄱ. 선혜청에서 대동법 관련 업무를 담당하였다.
ㄷ. 대동법의 시행으로 관청에서 물품을 조달하는 공인이 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오답 설명
ㄴ, ㄹ 모두 균역법에 대한 설명이다.
24. ②
서얼, 규장각 검서관, 이덕무, 박제가, 유득공, 서이수를 통해 정조임을 알 수 있다.
② 정조 때 정약용이 제작한 거중기 등을 활용하여 수원 화성이 축조되었다.
오답 설명
① 태종, 세조, ③ 조선 숙종, ④ 고종, ⑤ 철종 재위 시기의 사실이다.
25. ②
만상과 송상을 통해 조선 후기임을 알 수 있다.
② 벽란도에서 인삼을 사는 송의 상인의 모습은 고려 시대에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오답 설명
①, ③, ④, ⑤ 모두 조선 후기에 볼 수 있는 모습이다.
26. ④
『열하일기』, 화폐 유통의 필요성을 주장했다는 것을 통해 (가) 인물이 박지원임을 알 수 있다.
④ 박지원은 『양반전』, 『허생전』 등의 소설을 지어 당시 양반의 허례와 무능을 풍자하였다.
오답 설명
① 김정희, ② 김육, ③ 유수원, ⑤ 김정호에 대한 설명이다.
27. ①
조선 후기의 대표적 풍속 화가이며, 호가 단원인 것을 통해 (가) 인물이 김홍도임을 알 수 있다.
① 씨름은 김홍도가 그린 대표적인 풍속화이다. 김홍도는 서민의 생활을 익살스럽게 묘사한 풍속도를 주로 그렸으며, 대표적으로 씨름, 서당, 무동 등이 있다.
오답 설명
② 금강전도(정선), ③ 파적도(김득신), ④ 월하정인(신윤복), ⑤ 영통동구도(강세황)이다.
28. ②
(가) 병인양요(1866)과 (나) 신미양요(1871) 사이의 사실을 고르면 된다.
② 1868년 독일의 상인인 오페르트가 조선에 통상을 요구하기 위해 흥선 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 묘의 도굴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오답 설명
① 운요호 사건(1875), ③ 임오군란 결과(1882), ④ 거문도 사건(1885), ⑤ 황사영 백서 사건(1801)에 대한 설명이다.
29. ①
보빙사가 파견되게 되었다는 내용을 통해 (가) 조약이 조∙미 수호 통상 조약임을 알 수 있다.
①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은 조선이 서양과 체결한 최초의 근대적 조약으로, 최혜국 대우를 최초로 규정하였다.
오답 설명
② 을사늑약, ③ 조∙프 수호 통상 조약, ④ 제1차 한∙일 협약, ⑤ 강화도 조약에 대한 설명이다.
30. ③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에서 급진 개화파가 일으켰다는 것을 통해 (가)가 갑신정변임을 알 수 있다.
③ 갑신정변은 일본 공사관의 신축 비용을 조선이 부담한다는 내용을 담은 한성 조약이 체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오답 설명
① 동학 농민 운동, ② 강화도 조약, ④ 임술 농민 봉기 ⑤ 임오군란에 대한 설명이다.
31. ①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에서 거처를 옮긴 뒤 중명전 등을 지었다는 것을 통해 (가) 궁궐이 덕수궁임을 알 수 있다.
① 덕수궁 석조전에서는 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가 개최되었다.
오답 설명
② 경희궁, ③ 창경궁, ④ 경복궁, ⑤ 창덕궁에 대한 설명이다.
32. ⑤
고종의 강제 퇴위와 군대 해산에 발발하여 일어났다는 것을 통해 (가) 의병이 정미의병임을 알 수 있다.
⑤ 정미의병은 여러 의병 부대가 연합한 13도 창의군을 조직하여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하였다.
오답 설명
①, ③ 을사의병, ② 을미의병, ④ 독립 의군부에 대한 설명이다.
33. ⑤
서울과 인천을 잇는 경인선의 철도 개통식은 1900년에 열렸다.
⑤ 한성 사범 학교는 1895년에 설립되어 1911년까지 운영되었으므로, ㉠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오답 분석
모두 ㉠ 시기에 볼 수 없는 모습이다.
① 학도 지원병제(1943), ② 금난전권 폐지(1791, 정조), ③ 근우회(1927), ④ 두모포 수세 사건(1878)이다.
34. ①
신흥 무관 학교가 지어졌다는 것을 통해 밑줄 그은 ‘이 지역’이 만주임을 알 수 있다.
① 만주에서는 1911년에 신민회의 주도로 남만주 삼원보에 한인 자치 기구인 경학사가 설립되었다.
오답 설명
② 연해주, ③ 도쿄, ④ 하와이, ⑤ 샌프란시스코에 대한 설명이다.
35. ③
고종의 인산일(장례일)을 계기로 시작되었다는 것을 통해 밑줄 그은 ‘운동’이 3∙1 운동임을 알 수 있다.
③ 3∙1 운동은 일제가 식민 통치 방식을 무단 통치에서 문화 통치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오답 설명
① 국채 보상 운동, ② 소년 운동, ④ 광주 학생 항일 운동, ⑤ 6∙10 만세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36. ③
토지 조사 사업이 실시되었다는 것을 통해 밑줄 그은 ‘시기’가 무단 통치 시기(1910~1919)임을 알 수 있다.
③ 무단 통치 시기에 일제는 조선 태형령(1912)을 제정하여 조선인에 한해 태형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오답 설명
① 민족 말살 통치 시기(1938), ② 일제 강점기 이전(1907), ④ 문화 통치 시기(1920), ⑤ 민족 말살 통치 시기(1937)에 대한 내용이다.
37. ⑤
나철이 단군 신앙을 기반으로 창시하였다는 것을 통해 (가) 종교가 대종교임을 알 수 있다.
⑤ 대종교는 무장 투쟁을 전개하기 위해 1911년 만주에서 중광단을 조직하였다.
오답 설명
① 천도교, ② 불교, ③ 원불교, ④ 유교에 대한 설명이다.
38. ①
① 순서대로 나열하면 (가) 간도 참변(1920) - (나) 자유시 참변(1921) - (다) 미쓰야 협정(1925)이 된다.
39. ⑤
나운규가 제작한 영화인 ‘아리랑’이 처음 발표된 것은 1926년이다.
⑤ 1920년 대에는 식민지 현실의 계급 모순을 비판하는 신경향파 문학이 등장하여 카프(KAPF)를 결성(1925)하여 활동하였다.
오답 설명
① 1898년, ② 1895년, ③ 1908년, ④ 1899년의 설명이다.
40. ⑤
중∙일 전쟁 이후 일제가 침략 전쟁을 확대하던 시기라는 내용을 통해 밑줄 그은 ‘이 시기’가 민족 말살 통치 시기임을 알 수 있다.
⑤ 민족 말살 통치 시기인 1941년에 일제는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을 시행하여 독립운동을 탄압하였다.
오답 설명
① 무단 통치 시기(1910), ② 문화 통치 시기(1925), ③ 무단 통치 시기(1910~1919), ④ 문화 통치 시기(1924)에 대한 설명이다.
41. ⑤
대동 단결 선언과 임시 정부 건국 강령 초안을 작성하였다는 것을 통해 밑줄 그은 ‘나’가 조소앙임을 알 수 있다.
⑤ 조소앙은 새로운 국가 건설을 위한 이념으로 정치·경제·교육의 균등을 강조한 삼균주의를 주장하였다.
오답 설명
① 신채호, ② 박은식, ③ 김규식, 여운형, ④ 이준, 이위종, 이상설에 대한 설명이다.
42. ⑤
김구와 김규식이 작성하였으며, 제 정당의 대표 회담을 소집하였다는 것을 통해 남북 협상(1948. 4.)이 진행되던 시기임을 알 수 있다.
⑤ (마) 시기인 1948년 4월에는 김구와 김규식은 남북 분단을 우려하여 남북 협상을 추진하였다. 유엔의 남북한 총선거 결정 이후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이 북한에 방문하였으나 들어가지 못하자, 유엔 소총의에서 남한만의 총선거를 결의하였고, 결국 5∙10 총선거를 통해 남한 단독 정부가 수립되었다.
43. ③
남북한이 유엔에 동시 가입하였다는 내용을 통해 노태우 정부임을 알 수 있다.
③ 노태우 정부는 민족 자존과 통일 번영을 위한 7∙7 선언을 발표하여 남북 동포 간의 상호 교류 및 남북 교역 문호 개방 등을 천명하였다.
오답 설명
① 문재인 정부, ② 전두환 정부, ④ 박정희 정부, ⑤ 노무현 정부에 대한 설명이다.
44. ②
한국과 미국간에 상호 방위 조약이 체결된 것은 1953년이다.
② 1959년에 평화 통일론을 주장하던 진보당의 조봉암이 북한과 내통하였다는 혐의로 처형되었다.
오답 설명
① 1948년, ③ 1952년, ④ 1950년, ⑤ 1949년의 사실이다.
45. ②
(가)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 선거한다는 것과 대통령이 국회를 해산할 수 있다는 내용을 통해 유신 헌법(7차 개헌안)임을 알 수 있다.
(나) 대통령 선거인단에서 선거한다는 것과 대통령 임기가 7년이라는 내용을 통해 8차 개헌안임을 알 수 있다.
② 유신 헌법에는 대통령이 국회의원의 1/3을 추천할 수 있다는 조항이 담겨있다.
오답 설명
① 발췌 개헌(1차 개헌안), ② 사사오입 개헌(2차 개헌안), ④ 유신 헌법(7차 개헌안), ⑤ 9차 개헌안에 대한 설명이다.
46. ④
금융 실명제(1993) - (가) - 국제 통화 기금(IMF) 지원 요청(1997)
④ (가) 시기인 1996년에 김영삼 정부는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여 회원국이 되었다.
오답 설명
① 박정희 정부, ② 노무현 정부, ③ 전두환 정부, ⑤ 이승만 정부의 사실이다.
47. ⑤
호주제를 폐지하였다는 내용을 통해 밑줄 그은 ‘정부’가 노무현 정부임을 알 수 있다.
④ 노무현 정부 때인 2005년에는 체계적인 과거사 진상규명을 목적으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기본법이 제정되었다.
오답 설명
① 문재인 정부, ② 김영삼 정부, ③ 노태우 정부, ⑤ 박정희 정부 시기의 사실이다.
48. ⑤
⑤ 구제도감은 고려 시대에 병자의 치료를 위해 설치된 임시 구호 시설로, 사창제와는 관련이 없다. 사창제는 민간에서 곡식을 저장해 두었다가 유사시 백성들에게 대여해주던 조선 시대의 사회 제도이다.
오답 설명
① 진대법은 고구려 고국천왕이 시행하였다.
② 성종은 태조 왕건 때 흑창을 확대∙개편하여 의창을 설치하였다.
③ 제위보는 광종 때 설치된 빈민 구제 기관으로, 기금을 모아 그 이자로 빈민을 구휼하였다.
④ 사창제는 조선 세도 정치 시기에 농민을 수탈하는 수단으로 변질되었다.
49. ②
한∙일 월드컵 개막식을 통해 김대중 정부임을 알 수 있다.
② 김대중 정부 때인 2001년에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를 구현하고 민주적 기본질서 확립을 위한 인권 전담 독립 국가 기관으로 국가 인권 위원회가 출범하였다.
오답 설명
① 박정희 정부, ③ 김영삼 정부, ④ 이명박 정부, ⑤ 전두환 정부 시기의 사실이다.
50. ②
(가) 달구벌, 2∙28 민주 운동을 통해 대구임을 알 수 있다.
(나) 5∙18 민주화 운동이 일어난 빛고을을 통해 광주임을 알 수 있다.
②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ㄱ, ㄷ이다.
ㄱ. 김광제, 서상돈 등을 중심으로 대구에서 국채 보상 운동이 시작되었다.
ㄷ. 일제 강점기에 한∙일 학생 간의 충돌을 계기로 광주에서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 일어났다.
오답 설명
ㄴ. 서울, ㄹ. 마산에 대한 설명이다.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