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콘텐츠

[제7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본 문제 및 해설
작성자 : 해커스한국사
조회수 : 3570 작성일 : 2024-08-10 15:50:1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본 71 해설

1.

농경과 목축이 시작, 빗살무늬 토기, 갈돌과 갈판을 통해 () 시대가 신석기 시대임을 있다.

신석기 시대에는 가락바퀴를 이용하여 실을 뽑았다.

오답 설명

철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청동기~철기 시대에 대한 설명이다.

2.

동예는 10월에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어 하늘에 제사를 지냈으며, 읍락 간의 경계를 침범하면 , , 노비 등으로 배상하는 책화의 풍습이 있었다.

3.

황룡사 창건, 화랑도 정비를 통해 신라 진흥왕임을 있다.

신라 진흥왕은 북한산에 순수비를 건립하였다.

오답 설명

발해 무왕, 백제 근초고왕, 통일 신라 문무왕에 대한 설명이다.

4.

백제 성왕은 수도를 웅진에서 사비로 옮기고,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었다. 이후 신라 진흥왕과 연합하여 한강 하류 지역을 되찾았으나, 신라의 진흥왕의 배신으로 빼앗겼다.

5.

김해, 김수로를 통해 () 나라가 금관가야임을 있다.

금관가야는 철이 풍부하여 낙랑군, 왜와 활발히 교류하였다.

오답 설명

발해, 신라, 고조선에 대한 설명이다.

6.

수도 국내성, 광개토 대왕릉비를 통해 () 국가가 고구려임을 있다.

고구려는 국립 대학인 태학과 민간 교육 기관인 경당을 두어 인재를 양성하였다.

오답 설명

통일 신라, 신라, 백제에 대한 설명이다.

7.

원종과 애노 등이 사별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는 것과 붉은색 바지, 적고적을 통해 신라 하대임을 있다.

신라 하대에 중앙 정치의 지배력이 약화되면서 원종과 애노의 , 적고적의 사회가 동요하였다.

8.

설총은 원효 대사의 아들로,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한 이두를 체계화하였다. 또한 도덕 정치를 강조한 「화왕계」를 지어 신문왕에게 바쳤다.

9.

문왕, 보력을 통해 () 국가가 발해임을 있다.

발해는 5 15 62주의 지방 행정 제도를 마련하였다.

오답 설명

고구려, 부여, 통일 신라에 대한 설명이다.

10.

() 완산주에 도읍, 견훤을 통해 후백제 건국(900)임을 있다.

() 신라의 운수가 다하였으니, 신하로 받아 주길 바란다는 내용을 통해 신라 경순왕의 항복(935)임을 있다.

() 고창을 통해 고창 전투(930) 임을 있다.

순서대로 나열하면 () 견훤의 후백제 건국(900) – () 고창 전투(930) – () 신라 경순왕의 항복(935) 된다.

11.

광덕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 처음으로 과거 제도를 실시하였다는 것을 통해 고려 광종임을 있다.

고려 광종은 억울하게 노비가 자들을 해방하는 노비안검법을 시행하였다.

오답 설명

통일 신라 신문왕, 고려 태조 왕건, 고려 공민왕의 업적이다.

12.

수월관음도를 통해 () 국가가 고려임을 있다.

고려는 국경 지역에 동계와 북계를 두었다.

오답 설명

백제, , 통일 신라에 대한 설명이다.

13.

강조가 정변을 일으켜 새로운 왕을 옹립하였다는 , 강감찬이 거란을 물리치고 돌아왔다는 것을 통해 밑줄 그은 고려 현종임을 있다.

고려 현종 불력으로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기 위해 초조대장경이 제작되었다.

오답 설명

고려 희종(최충헌 집권기), 조선 세종, 고려 인종 때의 사실이다.

14.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은 고려 시대의 건축물로, 팔작 지붕, 배흘림 기둥, 주심포 양식으로 지어진 것이 특징이다.

오답 설명

경주 불국사 대웅전은 통일 신라 시기에 창건된 불국사의 중심 법당으로, 임진왜란 소실되어 조선 후기에 다시 지어졌다.

김제 금산사 미륵전은 조선 후기에 지어진 건물이다.

보은 법주사 팔상전은 조선 후기에 지어진 목조 오층탑이다.

15.

망이, 망소이, 공주 명학소를 통해 정중부 집권기에 일어난 망이망소이의 (1176)임을 있다.

무신들이 권력을 잡은 무신 정변(1170) 이후, 정중부가 집권하였다. 정중부 집권기인 1176년에 망이망소이가 차별 대우에 반발하여 공주 명항소에서 난을 일으켰다.

16.

별무반 조직(숙종, 1104) () 금나라의 화친 요청(예종, 1117)

() 시기인 1107년에 윤관이 별무반을 이끌고 여진을 정벌하고 동북 9성을 축조하였다.

오답 설명

고려 성종, 진포 대첩(고려 우왕, 1380), 충주성 전투(고려 고종, 1253)이다.

17.

팔관회는 고려의 국가적인 행사로, 서경에서 10 15, 개경에서 11 15일에 열렸다. 팔관회 송이나 여진, 아라비아 상인들이 선물을 가져와 바치기도 하였다.

18.

고려는 고액 화폐인 활구라고 불리는 은병이 사용되었다.

오답 설명

, 조선 후기, 신라에 대한 설명이다.

19.

왕자의 난을 일으켜 동생들을 제거하고 사병을 혁파했다는 것을 통해 () 왕이 태종임을 있다.

태종 호패법이 실시되었다.

오답 설명

중종, 성종, 숙종 재위 시기의 사실이다.

20.

그릇 표면에 백토를 분칠하고 장식한 도자기, 고려 말부터 조선 전기까지 제작되었다는 것을 통해 분청사기임을 있다.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은 그릇 표면에 백토를 칠하고 물고기무늬 모양을 새긴 분청사기로, 조선 전기에 제작되었다.

21.

조선 세조 관리에게 토지가 부족해지자, 현직 관리에게만 수조권을 지급하는 직전법을 시행하였다.

오답 설명

영조, 인조, 고종 흥선 대원군 시기에 시행되었다.

22.

대동법은 공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해군 경기도에서 처음 시행되었다.

23.

일본의 침략으로 시작, 의병을 통해 () 전쟁이 임진왜란(1592~1598)임을 있다.

임진왜란 중인 1597년에 이순신이 명량 해전에서 일본 수군에 크게 승리하였다.

오답 설명

조선 세종 때로, 임진왜란 이전의 사실이다.

신미양요(1871), 임진왜란 이후의 사실이다.

조선 세종 때로, 임진왜란 이전의 사실이다.

24.

아버지 사도 세자를 통해 밑줄 그은 국왕 조선 정조임을 있다.

정조는 신진 인사 하급 관리를 선발해 재교육하는 초계문신제를 실시하였다.

오답 설명

고려 인종, 조선 세종, 조선 고종에 대한 설명이다.

25.

무동은 시장이나 집을 돌아다니며 연주하고 춤을 췄던 풍각쟁이의 모습을 그린 김홍도의 작품이다.

오답 설명

고사관수도는 조선 전기 화가인 강희안의 작품이다.

아집도대련은 고려 시대의 작품으로, 고려 시대의 귀족과 노비의 생활 모습을 표현하였다.

월하정인은 조선 후기 화가인 신윤복의 작품이다.

26.

윤지충이 신주를 불살랐다는 것을 통해 진산 사건(신해박해, 1791) 일어난 조선 후기임을 있다.

삼별초는 최씨 정권의 사병으로, 1273년에 고려몽골 연합군의 공격을 받아 패배하면서 모두 소탕되었다.

27.

임오군란은 정부의 개화 정책과 신식 군인과의 차별 대우에 반발하여 구식 군인들이 1882년에 일으킨 사건이다.

오답 설명

갑신정변은 1884년에 급진 개화파가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을 계기로 일으킨 사건이다.

병인양요는 병인박해를 계기로 1866년에 프랑스 군대가 강화도에 침입한 사건이다.

을미사변은 1895년에 일본이 명성 황후를 시해한 사건이다.

28.

조선 시대 서얼은 양반의 첩이 낳은 자식으로, 관직 진출에 차별을 받았다. 조선 후기에 차별 철폐를 위해 통청 운동을 전개하였다.

오답 설명

공노비, 노비에 대한 설명이다.

골품에 따라 관등 승진에 제한을 받은 것은 신라의 골품제로, 서얼과는 관련이 없다.

29.

경복궁 중건, 원납전을 통해 () 인물이 흥선 대원군임을 있다.

흥선 대원군은 전국 각지에 서양과의 통상을 금지하는 척화비를 건립하였다.

오답 설명

허준, 정조, 효종에 대한 설명이다.

30.

김홍집은 2 수신사로 일본에 파견되어 황준헌의 『조선책략』을 국내에 들여 왔으며, 갑오개혁 당시에 총리대신으로 임명되어 개혁의 전반을 주도하였다.

오답 설명

, 김옥균과 서재필은 갑신정변에 참여한 인물이다.

유인석은 을미의병 당시 의병장이다.

31.

강화도 조약은 운요호 사건을 계기로 1876년에 체결된 조약으로, 조약에 의해 부산 외의 2(원산, 인천) 항구가 개항되었다.

오답 설명

기유약조는 1609년에 체결된 조약이다.

한성 조약은 갑신정변의 결과, 1884년에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조약이다.

정미 7조약은 1907년에 체결된 조약이다.

32.

최익현은 을사늑약 체결 이후 1906년에 항일 의병 운동을 전개하였다.

오답 설명

비변사는 삼포 왜란을 계기로 처음 설치되었다.

기묘사화는 조광조의 위훈 삭제에 반발한 훈구 세력에 의해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들이 화를 입은 사건이다(1519).

임술 농민 봉기는 경상도우병사 백낙신의 탐학에 반발하여 유계춘 등을 중심으로 봉기를 일으킨 사건이다.

33.

전봉준, 농민군, 황룡촌 전투를 통해 () 운동이 동학 농민 운동(1894)임을 있다.

동학 농민군이 전주성을 점령한 이후 정부와 동학 농민군은 전주 화약을 체결하였다.

오답 설명

1896, 1712(조선 숙종), 1862년이다.

34.

전등 개설식이 거행되었다는 것을 통해 1901년임을 있다.

경인선은 1899년에 설치되었으므로, 전등 개설식이 거행된 시기에 있는 모습이다.

오답 설명

모두 전등 개설식이 거행된 시기에 없는 모습이다.

텔레비전이 우리나라에 처음 보급된 것은 1954년이다.

한성순보는 1883년부터 1884년에 간행되었다.

경성 방송국은 1926년에 설치되었다.

35.

임시 토지 조사국을 통해 () 정책은 토지 조사 사업임을 있다. 토지 조사 사업이 실시된 시기는 무단 통치 시기이다.

무단 통치 시기에 일제는 회사 설립 조선 총독부의 허가를 받도록 회사령을 시행하였다.

오답 설명

국권 피탈 이전, 문화 통치 시기, 민족 말살 통치 시기의 사실이다.

36.

홍범도와 최진동 지휘관, 독립군 연합 부대를 결성하였다는 것을 통해 () 전투가 봉오동임을 있다.

봉오동 전투는 홍범도, 최진동 등이 독립군 연합 부대를 결성하여 일본군에게 크게 승리한 전투이다. 이후 일본은 중국 마적을 사주하여 일본 공사관을 공격하게 하는 훈춘 사건을 조작하였고, 이를 구실로 일본 대군이 만주에 파견되었다.

오답 설명

쌍성보 전투는 1932년에 지청천이 이끄는 한국독립군과 중국 의용군이 연합하여 일본군에게 승리한 전투이다.

우금치 전투는 동학 농민군이 신식 무기로 무장한 조선일본 연합군에 크게 패배한 전투이다.

청산리 전투는 1920 11월에 김좌진의 북로 군정서군과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등이 연합하여 일본에게 크게 승리한 전투이다.

37.

방정환은 천도교 소년회를 조직하여 소년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어린이날을 처음으로 제정하였다.

오답 설명

김원봉 , 손기정, 남승용 이준, 이상설, 이위종에 대한 설명이다.

38.

황국 신민 서사를 통해 밑줄 그은 시기 민족 말살 통치 시기임을 있다.

민족 말살 통치 시기에 일제는 일본의 조상신을 모신 사당에 참배하도록 하는 신사 참배를 강요하였다.

오답 설명

문화 통치 시기, , 국권 피탈 이전의 사실이다.

39.

고종의 장례 기간, 탑골 공원 등에서 학생과 시민들이 만세 시위로 시작을 통해 () 민족 운동이 3∙1 운동임을 있다.

3∙1 운동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계기가 되었다.

오답 설명

임오군란, 갑신정변 , 국채 보상 운동, 상권 수호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40.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은 1920년대 이상재 등이 중심이 되어 고등 교육 기관을 설립하기 위해 전개한 운동이다. ‘한민족 1천만이 사람 1원씩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모금 활동을 전개하였으나, 일제의 방해와 자연재해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41.

올해 제정된 치안 유지법을 통해 1925년임을 있다.

치안 유지법이 적용된 시기에 일제는 산미 증식 계획을 추진하였다.

오답 설명

장용영은 1793년부터 1802년까지 있었다.

군국기무처는 1894 6월부터 12월까지 설치된 기구이다.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는 1945년에 조직된 단체이다.

42.

한인 애국단은 김구가 침체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활동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조직한 단체로, 주요 단원으로는 이봉창, 윤봉길 등이 있다.

43.

이육사는 본인의 수감 번호인 이육사 이름처럼 사용하였으며, 「청포도」, 「광야」 등을 저술하였다.

44.

1945 8∙15 광복 이후, 1∙2 미소 공동 위원회가 개최되었으나 의견 차이로 결렬되었다. 이에 미국은 한국 문제를 유엔에 이관하였고, 1947 11월에 남북한 인구 비례로 총선거를 열기로 유엔 총회 결의 112호가 채택되었다.

45.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를 통해 () 정부가 이승만 정부임을 있다.

이승만 정부 시기인 1949년에 유상매수, 유상분배의 원칙을 담은 농지 개혁법이 제정되었다.

오답 설명

박정희 정부, 김영삼 정부, 김대중 정부 시기의 사실이다.

46.

5∙18 민주화 운동은 신군부가 권력을 잡고 비상 계엄을 확대하자, 이에 반발한 광주 시민들이 전개한 민주화 운동이다. 이때 신군부가 계엄군을 투입하여 이를 진압하였고, 시민군이 조직되어 이에 대항하였다.

47.

경부 고속도로를 통해 () 정부가 박정희 정부임을 있다.

박정희 정부 시기에 2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시행되었다.

오답 설명

김영삼 정부, 노무현 정부, 전두환 정부이다.

48.

국민학교라는 명칭이 초등학교로 바뀐다는 것을 통해 김영삼 정부 시기임을 있다.

김영삼 정부 시기에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이 추진되었고, 조선 총독부 건물이 철거되었다.

오답 설명

이명박 정부, 노무현 정부, 김대중 정부이다.

49.

분단 이후 번째로 열린 남북 정상 회담을 통해 노무현 정부임을 있다.

노무현 정부는 6∙15 남북 공동 선언의 적극 구현, 남북 경제 협력 사업의 적극 활성화 등의 내용을 담은 10∙4 남북 정상 선언을 발표하였다.

오답 설명

노태우 정부, 박정희 정부, 노태우 정부이다.

50.

() 대한국 국제 반포는 1899년이다.

() 제헌 헌법 공포는 1948년이다.

() 대동 단결 선언 발표는 1917년이다.

순서대로 나열하면 () 대한국 국제 반포(1899) – () 대동 단결 선언 발표(1917) – 제헌 헌법 공포(1948)이다.


목록
QUICK MENU
패밀리사이트